본문 바로가기

AI/StudyNote

(48)
Python #for for 반복문의 정의 파이썬의 제어문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실행을 반복할 수 있음 조건문과 마찬가지로 들여쓰기와 콜론이 매우 중요! 반복 가능한 객체를 순회하며 반복문 안의 코드를 한번씩 실행 1) 반복 객체에서 순서대로 하나씩 값을 가져옴 2) 아이템에서 가져온 값을 담음 3) 실행 코드 수행 4) 반복 객체가 끝날 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 리스트, 튜플 등 집합 자료형을 사용하여 요소를 하나씩 가져와 반복 가능 반복 가능 객체인 문자열, 사전, 집합 자료형으로도 반복문 사용 가능 숫자는 불가능 반복 가능한 객체는 모두 올 수 있으며, 반복 불가능한 객체는 올 수 없음 #정수형은 반복 불가능 하다. for i in 10: # 정수형은 반복 불가능하다. print(i) #리스트 #리스트 for i in [..
Python 복습 #조건문 #조건부 표현식 실습 1 키와 몸무게를 입력한 뒤 조건 키가 180보다 크면 사람1, 160보다 작으면 사람2, 160이상, 180이하일 경우 몸무게가 키 -110 한 값보다 크면 사람1, 작으면 사람2를 작성 height = int(input("키를 입력해 주세요: ")) weight = int(input("몸무게를 입력해 주세요: ")) if(height > 180): print("사람1") elif(height = 0..
Python #불 자료형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불 자료형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 - 오직 참과 거짓 두가지 값만 가질 수 있다 - 파이썬은 대.소문자를 구별하기 때문에 정확히 True, False를 사용해야 한다. 내장 함수 bool()을 활용해 참과 거짓을 확인할 수 있음 - 자료형의 참과 거짓: 문자열, 리스트, 튜플, 사전, 숫자 1. True, False는 반드시 첫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해야 한다. #True, False는 반드시 첫글자를 대문자로 작성해야 한다. a = True b = False print(a, type(a)) print(b, type(b)) 2. 문자열 반환 예시 : 문자열이 비어있지 않으면 True, 비어있으면 False #문자열 print(bool("abcd")) print(bool("")) ..
Python 복습 #산술 연산자 #문자열 # 리스트 파이썬에서 산술 연산자를 사용하는 예시 #더하기 print("1. 더하기 예: 2+4 =", 2+4) #빼기 print("2. 빼기 예: 4-2 =", 4-2) #곱하기 print("3. 곱하기 예: 4 X 2 =", 4*2) #나누기 print("4. 나누기 예: 4 / 2 =", 4/2) #나누기에서 몫만 출력하기 print("5. 나누기에서 몫만 출력하기 예: 4 // 2 =", 4//2) #나누기에서 나머지 값만 출력하기 print("6. 나누기에서 나머지 값만 출력하기 예: 4 % 2 =", 4%2) #주어신 숫자의 승수 값 출력하기 print("7. 주어진 숫자의 승수값 출력하기 예: 4**2 =", 4**2) 연산자 사용 방법 # 1 i = 0 i = i + 2 print("i에 저장된 값은..
Python 문자열 자료형(연산,함수, 포맷팅) 문자열 자료형의 특징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 문자열 안에 따옴표 넣기 - 이스케이프 문자 사용(\) - 따옴표를 다르게 사용 여러 줄의 문장 표현 - 이스케이프 문자 사용(\) - 따옴표를 세개 사용 문자열 자료형의 연산 연결 연산자(+) 반복 연산자(*) 선택 연산자(인덱싱) 범위 선택 연산자(슬라이싱, 역순 정렬, 스탭) 문자열 메소드(함수) 문자열의 메소드 종류와 활용법 파이썬의 문자열 자료형은 변경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직접 문자열을 수정하는 방식이 아닌 문자를 반환하는 방식의 메소드를 사용 upper() :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 lower() :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경 swapcase() : 대문자는 소문자로, 소문자는 대문자로 변경 capitalize() : 첫문자만 대문자..
Python 내장 자료형( 튜플, 리스트, 사전 자료형 )의 활용 리스트 1. 리스트의 기본 사용법 - 대괄호로 정의 - 내장 함수를 사용해 정의 - 리스트 안의 리스트는 다차원 배열로 사용 가능 2. 리스트의 함수 - insert() : 해당 인덱스에 값을 추가 - pop() : 해당 인덱스의 값을 들어낸다. pop() : 으로 파라미터 없이 사용하면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 요소를 삭제한다. - reverce() : 값을 거꾸로 정렬한다. - count() : 리스트 안의 요소가 몇 개 들어있는지 센다. - append() : 해당 값을 요소로 추가한다 - extend() : 해당 리스트를 뒤에 가져다 붙인다.(확장) - sort() : 오름차순으로 값을 정렬한다.(정렬방식 변경 가능) - index() : 리스트의 해당 값이 있으면 해당 값의 인덱스(순서)를 반환한다..
Python 사전 자료형과 집합 자료형 사전(Dict) 자료형 사전 자료형이란? 1. 키를 이용하여 값을 저장하는 자료형 2. 정수형 인덱스가 아닌 키로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된 자료의 순서는 의미가 없다 3. 중괄호로 정의함 -> d = { ‘a’ : 1, ‘b’ : 2, ‘c’ : 3 } 사전 자료형의 특징 1. 정수형 인덱스가 아닌 키와 값으로 자료를 저장 2. 값의 추가, 수정이 매우 용이함 3. 기존 사전에 있는 키에 새로운 값을 선언하면 새로운 값으로 변경됨 - 사전에 없는 키라면, 새로운 값이 추가됨 - 존에 없는 키를 단순히 참조한다면 에러 발생 4. 사전 자료형의 함수 활용(keys, values, items) - 함수를 활용해, 키, 값을 따로 뽑아 리스트에 반환할 수 있음 - JSON, XML형식과 유하하기 때문에 No..
Python 내장 자료형 참고 C 언어와 파이썬 언어의 자료형 차이 C 언어 : 시스템의 메모리나 표현 형식에 따라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의 종류나 최대크기가 모두 다름 파이썬 : 해당 자료형의 특징과 사용 방법만 알고 있으면 됨 자료형이란? 1. 프로그래밍에서 자료(Data)를 처리하는 일을 주로 함 2. 파이썬에서는 자료를 손쉽게 다를 수 있도록 내장 자료형을 제공 - 숫자(수치) 자료형 : 정수(int), 실수(float), 복소수(complex) - 불(bool)자료형 : True, False - 군집 자료형 : 문자열(str), 리스트(list), 튜플(tuple), 사전(dict), 집합(set) 내장 자료형의 특징 내장 자료형의 구분 1. 기억 장소의 크기 2.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 3. 저장방식 4. 값의 범위 ..

반응형